본문 바로가기

GAME/HACKNET

Hacknet Tutorial 공략

2월에 구매하고 당일 엔딩까지 봤지만 포스팅을 위해 캡처하는 게 너무 귀찮아 미루고 미루다 드디어 공략을 하게 되었다. 오래전에 나온 게임이라 공략을 궁금해하는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0) 시작. 

제일 첫 화면이다. 신규 세션을 통해 새 계정을 생성한다.(더스크우드에서 카와라는 이름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과거 핵넷에서도 카와로 진행하였다)

계정 이름과 비밀번호, 비밀번호 재입력을 하면 계정이 생성된다. 그리고 간지나는 화면까지 :)

Bit으로부터 편지

익명의 누군가로부터 편지가 왔다. 그의 이름은 Bit 이럴줄 알았으면 닉네임 Byte로 할 걸 그랬다. 죽은 걸로 추정되는 인물이 무슨 의도로 편지를 썼을까?

 

 

1) 튜토리얼

본격적으로 튜토리얼을 시작한다.

 

1. 시작 버튼?(화면이 작아서 잘 안보임)을 누르고 2. 우측 하단의 좌표를 클릭한다. 

 

3. 인접 노드를 검색하기 위해 scan한다. 디스플레이 모듈(GUI?)의 네트워크 스캔 버튼을 클릭한다.

4. 해당 PC를 연결해제하기 위해 disconnect 버튼을 누른다.

 

5. 외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해당 노드를 클릭한다. 

 

6. 외부 컴퓨터의 시스템 및 개발 포트를 열기 위해 디스플레이 창의 "Probe 시스템"을 클릭하거나 커맨드 창에 "probe" 혹은 "nmap"을 입력한다.

 

7. 해당 컴퓨터에 관리자로 접근하기 위해서 포트를 개방해야 한다. 크랙에 필요한 모드 열기의 수만큼 포트를 개방하면 되는데 튜토리얼의 경우 포트 열기가 0이므로 포트를 열 필요가 없다. 필요한 포트 수만큼 포트를 연 후(지금 시점에선 포트 열기 X) "PortHack"을 커맨드창에 입력하여 포트를 해킹한다.

 

8. 포트 여는 것을 성공한 후 로컬 노드를 검색하기 위해 커맨드 창에 "Scan" 명령어를 입력한다. 참고로 3단계의 네트워크 Scan 버튼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9. 해당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일 시스템 보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커맨드 창에 "ls"를 입력한다. ls는 리눅스 명령어로 현재 위치에 있는 디렉토리나 파일을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10. bin 폴더로 이동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bin"을 클릭하거나 커맨드 창에 "cd bin"를 입력한다. cd [폴더이름]을 입력할 경우 하위 폴더 중 해당 이름을 가진 폴더로 이동하게 된다.

cd 명령어를 쓸 때 우리는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를 입력하게 된다. 

절대 경로의 경우 처음 - 원하는 목적지 까지의 경로로 예를 들어 "c:/user/desktop/hacknet"처럼 표기한다.

상대경로의 경우 현재위치 -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로 현재 위치가 desktop일 경우 "./hacknet"처럼 표기한다.

 

11. 파일을 읽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config.txt"를 클릭하거나 커맨드 창에서 "cat config.txt"를 입력한다.

cat [파일이름] 명령어는 해당 파일을 읽어 커맨드 창에 뿌려주는 역할을 한다.

 

12. 뒤로 이동하기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의 뒤로 가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커맨드 창에 "cd.."를 입력한다. 앞서 말했듯이 cd는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의 경우 현재 위치를, ".."의 경우 앞/이전/상위 경로를 말한다.

 

14. 배웠던 cd를 통해 로그 폴더로 이동해보자(버튼 클릭도 가능)

 

15.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면 그에 대한 기록 = 로그가 남게 된다. 해킹했던 기록을 나중에 누군가 보거나 추적당할 수 있으니 지워줄 필요가 있다. 로그 내 모든 파일을 지우기 위해 커맨드 창에 "rm *" 을 입력한다.

rm [파일이름]을 사용하여 특정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All을 의미하기 때문에 "rm *"을 입력하면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들이 지워진다.

 

16. Manic Consortium 컴퓨터와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커맨트 창에 "ds" 혹은 "disconnect"를 입력한다. 참고로 4번 과정과 동일한 동작이다.

 

17. 튜토리얼 마지막 과정으로 현재 프로세스를 조회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해야한다. "ps" 명령어를 입력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조회한다.

ps 명령어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보여준다.

 

18.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해 커맨드 창에"kill 프로세스ID"(해당 컴퓨터의 경우 pid는 223이므로 "kill 223")을 입력한다.  ps를 통해 프로세스 아이디를 알아낸 후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kill 프로세스ID"를 통해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kill"로 입력할 경우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2) To Be Continue

메세지 박스를 클릭하면 Bit으로부터 받은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내용은 다음 게시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3) 정리

오늘 배운 명령어를 정리하겠다.

 

scan - 인접 노드를 검색하기 위해 스캔하는 명령어
disconnect - 연결된 pc 연결을 끊는 명령어, ds로 대체 가능
probe - 시스템 및 개발 포트를 여는 명령어, nmap으로 대체 가능
PortHack - 포트 해킹하는 명령어
ls - 현재 경로의 디렉토리, 파일들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cd [경로] - 해당 경로로 이동하는 명령어, 경로는 절대경로, 상대경로가 있다.
cat [파일이름] - 해당 파일을 읽어 커맨드 창에 뿌려주는 명령어
rm [파일이름] - 해당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ps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목록과 상태를 보여준다.
kill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종료시키는 명령어

 

'GAME > HACK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cknet 샀다.  (0) 2022.02.01